![카지노 입플](/data/photos/20240208/art_17085801790956_3a69ba.png)
비만을 청소년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심장질환 발병 위험과 비만이 성인기로 이어지면서 성인병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의정부을지대학교카지노 입플은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와 서울아산카지노 입플 박혜순 교수 연구팀이 2016~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2~18세 청소년 중 2182명을 대상으로 ‘과체중 및 비만을 가진 한국 청소년의 심장대사 위험인자 군집의 연관성’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.
연구는 심장대사 위험인자로 ▲고혈압 ▲높은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트롤 ▲낮은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트롤 ▲높은 중성지방 ▲높은 공복혈당 ▲높은 간 수치 ▲고요산혈증으로 한정하고, 연구 대상자 개인별 증상 개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.
연구 결과, 과체중 또는 비만 청소년이 저체중이거나 정상체중인 청소년에 비해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보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비만 청소년의 76.5%는 1개 이상의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갖고 있었고, ▲2개 이상 49.8% ▲3개 이상은 22.7% 순으로 분석됐다.
과체중 청소년의 경우에는 심장대사 위험인자 1개 이상을 가진 비율이 60.5%에 달했고, ▲2개 이상 24.0% ▲3개 이상 9.1% 순으로 조사됐다.
연구팀은 또 비만 청소년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 청소년에 비해 심장대사 위험인자를 갖고 있을 확률을 비교했다.
비교 결과, 비만 청소년이 1개 이상 위험인자를 가질 경우는 저체중/정상체중 청소년의 2.76배 높았고, 각각 ▲2개 이상은 3.75배 ▲3개 이상은 4.75배로 나타났으며, 과체중 청소년의 경우는 1개 요소에 대해 1.88배로 나타났다.
의정부을지대카지노 입플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는 “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2012년 10.4%에서 2021년 25.9%, 여자는 2012년 8.8%에서 2021년 12.3%로 각각 2.5배, 1.4배 증가했다”고 설명했다.
이어 “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만이거나 과체중 청소년은 운동 및 식이요법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체중 관리를 통해 심장 대사 위험인자를 줄여야 한다”고 말했다.